공부합시다!/Network
-
Etherchannel공부합시다!/Network 2022. 5. 15. 09:02
이중화 또 등장하네요! 이번에는 스위치 포트 이중링크 기능을 제공하는 Etherchannel 입니다. 1. 정의 1.1. 스위치에 연결된 다수의 Port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포트로 구성 1.2. 대역폭 확장 1.3. 이중화 링크 제공 2. 구성조건 2.1. Access와 Trunk Port 모두에서 Etherchannel 구성 가능 2.1.1. Access Port: 동일 조건 2.1.1.1. Speed 2.1.1.2. Duplex-Mode 2.1.1.3. Vlan-ID 2.1.2. Trunk Mode : 동일 조건 2.1.2.1. Trunk Protocol 2.1.2.2. Native LAN 2.1.2.3. Trunk 사용가능한 VLAN-ID 3. Etherchannel 동작 Mode 4. 구성 5. ..
-
Gateway Redundancy : 3. GLBP(Gateway Load Balancing Protocol)공부합시다!/Network 2022. 5. 2. 18:19
음! 드디어 게이트웨이 이중화의 마지막이네요! GLBP 시간입니다. 바로 시작합니다. 1. 정의 1.1. Cisco 전용 Protocol 1.2. MHSRP(Multi HSRP), MVRRP(Multi VRRP)의 Traffic 균등 분배 문제를 보완 2. 동작 구조 2.1. AVF(Active Virtual Forward) 2.1.1. GLBP에서 Router 이름 2.2. AVG(Active Virtual Gateway) 2.2.1. 가장 높은 Priority를 갖는 AVF 2.2.2. Priority 동일 시 가장 높은 IP 주소로 결정 2.2.3. 중개인 역할 2.2.4. PC나 Host의 ARP Request에 Load Balancing 방법에 따라 Virtual Mac Address로 응답 2..
-
Gateway Redundancy : 2.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공부합시다!/Network 2022. 5. 1. 14:46
그럼 오늘은 게이트웨이 이중화 2탄! VRRP를 소개합니다. 1. 정의 1.1. IBM 개발 1.2. VRRP Group에서 Gateway역할을 수행하는 Master Router 선출 1.3. Master Router 장애 시 바로 사용 가능한 Backup Router 선출 1.4. 실제 Interface의 IP Address 를 Gateway 주소로 사용 가능 -> HSRP는 Virtual Router IP 사용 1.5. Virtual Router IP도 사용 가능 -> HSRP와 동일하게 동작 1.6. 실제 Interface IP Address를 Gateway 주소 사용 시 Master Router가 지정되어 있음으로 Interface Tracking 사용불가 2. 설정 2.1. R1 config)#..
-
Gateway Redundancy : 1. HSRP(Hot Standby Router Protocol)공부합시다!/Network 2022. 4. 30. 16:20
제가 가장 좋아라 하는 부분입니다. 음! Cloud 공부하시는 분들은 여기까지 아실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서 부터는 Network Engineer의 영역입니다. HA(High Availiability)를 통한 이중화 및 Load Balancing 입니다. 첫번째 시간으로 Cisco에서 개발한 HSRP 입니다. Cluster를 통한 HA구성 시에는 거의 모든 장비에서 반드시 가상의 장비를 생성하여 User의 접점으로 이용을 합니다. User가 BackEnd의 개별 장비를 알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만 명확히 이해하시면 HA는 그냥 아주 쉬워집니다. HSRP에서도 Virtual Router(VIP)를 생성하여 User단에 제공을 하게됩니다. 1. 정의 1.1. Cisco에서 개발 1.2. 기존 Gate..
-
EIGRP, SSH, DHCP, MAIL, AAA, Wireless공부합시다!/Network 2022. 4. 29. 18:53
이전 학습했던 문제들을 조금 복합적으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1. 기본설정 2. SSH 3. EGIRP 4. DHCP & DHCP Relay Agent 5. AAA & Wireless 6. MAIL 설정의 6개를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문제입니다. 1. 구성도 2. Router 설정 2.1. Seoul Router (좌측) Seoul_R1 en conf t hostn Seoul_R1 ena se babo no ip domain-l ser p ip domain-n sdkim.com cry k g rsa 2048 ip ssh ver 2 username root pri 15 pass babo line con 0 exec-t 0 0 logg syn exit line vty 0 4 login local tra in s..
-
DHCP & DHCP IP Helper-Address (DHCP Relay Agent)공부합시다!/Network 2022. 4. 27. 06:10
Server가 아닌 Router 에서의 DHCP설정과 다른 Network로 DHCP 정보를 넘겨주는 DHCP IP Helper-Address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Server System에서는 ip helper-address를 DHCP Relay Agent라고 합니다. DHCP는 Discover -> Offer -> Request -> Ack가 최초에는 Broadcast로 이루어 집니다. 갱신시에는 Request -> Ack가 임대시간의 7/8되는 시점까지 Unicast 방식으로 동작하구요. 최초 DHCP Broadcast가 Network 를 넘어가지 못하는 것을 Unicast 방식으로 넘겨주는 것이 DHCP Relay Agent 입니다. 이것을 Cisco Router에서 구현한 것을 ip he..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공부합시다!/Network 2022. 4. 26. 06:52
여러분들이 대부분 댁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유기 (Broadband Router)는 NAT와 DHCP가 핵심기능 입니다. 오늘은 NAT 설정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DHCP 경우 이론적인 부분은 LINUX 챕터에 자료가 풍족하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 정의 1.1. NAT - ip 주소 변환 1.2. routing 정보가 서로 공유되지 않는 다른 두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1.3. 대표적인 것이 사설망과 공인망 사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 1.4. 그러나 망이 커지고 보안등의 목적으로 사설망과 사설망, 공인망과 공인망 사이에서도 NAT가 사용되어짐. 2. RFC 1918 (Private IP Address) 2.1. Class 별 Private IP Address A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