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GIT&GITHUB
-
GIT: Version Control System(버전 관리 시스템)공부합시다!/GIT&GITHUB 2024. 7. 23. 13:50
1. VCS(Version Control System)정의 1.1.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 1.2. 추후 특정 시점의 버전 재사용 가능. 1.3. 실제로 거의 모든 컴퓨터 파일의 버전을 관리 가능 2. 효용성 2.1. VCS로 이미지나 레이아웃의 버전(변경 이력 혹은 수정 내용)을 관리가능. 2.2. VCS를 사용하면 각 파일을 이전 시점 회귀, 2.3. 프로젝트 전체를 이전 시점으로 회귀, 2.4. 시간에 따른 수정 내용 비교, 2.5. 이슈자 추적 가능, 2.6. 누가 언제 이슈를 생성했는지 2.7. VCS를 사용하면 손쉬운 파일 복구 가능 3. 종류 3.1. RCS(Revision Control System) 3.1.1. 오늘날까지도 아직 많은 기업에서 사용. 3.1.2. RC..
-
GIT : 첫번째 commit 삭제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7. 13. 15:07
reset를 이용하면 이전 commit 내역을 모두 삭제하면서 해당 commit id로 이동한다는 점은 알고 있습니다. 헌데 이때 첫번째 commit은 어떻게 삭제를 할까요? reset만 가지고는 불가능하지요! 해서 첫번째 commit을 삭제하는 방법을 포스팅 합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 git update-ref -d HEAD $ git rm --cached -r -f . 이용하시면 첫번째 commit 과 staging 영역의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GIT Branch - 2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8. 18:34
음! 오늘은 통합(Merge)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각기 다른 branch에서 작업한 파일을 통합하는 과정입니다. 물론 동일한 파일을 작업한 것을 통합니다. 1. 기존 branch 및 버전 삭제 1.1. eng branch 삭제 1.1.1. # git branch -D eng 1.2. 파일 삭제 1.2.1. # rm -f guide.txt 1.3. 기존 버전 확인 1.3.1. # git log 1.4. 버전 제거 1.4.1. 최초 버전은 git hub와 통합 작업에 사용했음으로 남겨 둡니다. 1.4.2. # git reset 버전 Header 1.5. 버전 확인 1.5.1. # git log 2. 파일 작성 후 버전 관리 시작 2.1. guide.txt 파일 생성 후 버전 관리 시작 2.1.1. # vi..
-
GIT Branch - 1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7. 08:41
Brnach란 개별 개발자 혹은 동일한 개발자의 독립된 고유한 작업영역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출판사에서 여행 가이드를 만든다고 했을 때 처음 시작은 대한민국에 국한된 가이드를 제작하고 있었습니다. 헌데 이것보니 꽤 괜찮을거 같아서 미국 도시도 추가를 계획한다. 문제는 대한민국 가이드를 제작하던 작가가 미국을 잘 몰라 다른 사람이 미국부분을 작업하는 데서 시작된다! 같은 파일을 수정할 수도 없고...... 바로 이럴때 Branch를 만들어서 미국을 담당하는 작가에게 작업영역을 할당해 줍니다. 독립적으로 작업이 될 뿐더러 제작이 끝나면 Merge(병합)가 가능합니다. 물론 같은 부분을 수정해서는 안되는데. 이런 경우 Conflict(충돌)이 발생합니다. 그럼 Branch 작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오늘은..
-
GIT과 GITHUB 연동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5. 21:01
GIT은 Local Repository의 역할 그리고 GIT Hub는 협업을 위한 Remote Repository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두가지가 적절히 어울어져야 원격 저장소에 문제가 생겨도 로컬 환경에서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이 두 Repository를 연결하는 방법을 포스팅 합니다. GIT Hub의 인증 방식이 Access Token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2021년부터 변경이 되었기에 해당 Token을 생성해서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 1. Local Repository 설정 1.1. git 초기 설정 1.1.1. 디렉토리 생성 및 global 설정 1.1.1.1. # mkdir test 1.1.1.2. # git config --global user.name sdkim 1.1.1.3...
-
GIT Reset, revert를 활용한 과거로의 시간 여행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3. 20:10
reset, revert 를 이용한 버전 삭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set의 경우에는 commit id 이후의 버전을 삭제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revert의 경우에는 해당 버전으로의 이동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eset을 reset 이후의 버전들을 모두 지워버리지만 (과거 기억) revert의 경우에는 해당 시점 이후의 버전들을 모두 간직하고 있습니다. (좀 지저분하지요! 맺고 끊음이 없어요!ㅎㅎ) 완전히 새삶을 살기 위해서는 revert, 현재의 아름다운 추억을 과거의 시점에서 남기고 싶다면 reset을 이용하세요. 1. git reset - 선택한 버전의 상위 버전이 삭제 됩니다. 1.1. 상위 버전 확인 1.1.1. # git log 1.1.2. COMMIT ID 2번 확인 1.2. ..
-
GIT Checkout (시간 여행 : Time Machine)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2. 18:50
자! 오늘은 드디어 시간 여행의 시간입니다. GIT을 이용해서 특정 시점으로 파일 버전을 되돌리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시간 여행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벨트 꽉 메시길..... 1. 기존 파일 변경사항 추적 1.1. 변경 사항 추적 1.1.1. # git log 1.1.2. msg2의 commit id 확인 1.2. 과거로의 여행 1.2.1. # git checkout COMMIT ID 2번 1.2.2. # ls -al 1.2.3. # cat test1.txt 1.3. 이전 과거로의 여행 1.3.1. # git log 1.3.2. msg1의 COMMIT ID 1번 확인 1.3.3. # git checkout COMMIT ID 1번 1.3.4. 파일 확인 1.3.5. # ls -al 2. 최근 시점으로 되돌..
-
GIT 버전 간 차이점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1. 18:50
오늘은 조금 간단하게 git 버전간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합니다. 내용은 간단하지만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니 반복해서 학습하셔야 합니다. 1. 기존 파일 내용 변경 확인 1.1. 기존 파일 내용 변경 1.1.1. # vi test1.txt 1.1.2. 3번째 줄 test3을 babo3으로 변경 및 저장 1.1.3. a -> test3삭제 후 babo3 입력 후 esc -> :wq 1.1.4. # git status 1.1.5. # git diff 1.2. 기존 파일의 변경사항 확인할 수 있음. 1.3. 파일명 및 구체적인 Line, 제거 및 추가 사항 확인 가능 2. 파일 이전 상태 복원 2.1. 파일 이전 상태 복원 2.1.1. # git reset --hard 2.1.2. # cat test1.txt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