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Network
-
Packet Analysis - 5. TCP Header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18. 14:39
아! 드디어 Packet 분석의 마지막 입니다. 드디어 TCP Header 입니다. Network도 참 할게 많네요! 헌데 Public Cloud가 활성화 되면서 이 부분에 별로 시간투자를 안하시는데...... Architeckture의 가장 기본이 Network 입니다. Docker나 Kubernetes를 하면서도 가장 공부하기 까다로워 하는 부분이니 꼭 익혀두시고 넘어가세요! 기본이 튼튼하면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TCP Header 1.1. TCP Header 구조 : 참 단단하게 생겼네요! ㅎㅎ 1.2. TCP Header 분석 1.2.1. Source Port 1.2.1.1. Data를 생성한 App이 사용하는 Port 1.2.2. Destination Port 1.2.2.1. 목적..
-
Packet Analysis - 4. 3Way_4Way Handshake & UDP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17. 15:44
TCP Header를 분석하기 전에 TCP 연결과 종료시의 동작 구조인 3Way_4Way Handshake를 간단히 살펴 본 후 비교적 간단한 UDP 구조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3Way-Handshake 1.1. TCP 연결 시 1.2. 양쪽 모두 데이터 전송 준비 완료 보장 1.3. 실제 데이터 전달 시작 전 다른 쪽이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 1.4. TCP/IP를 이용해서 통신 시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 세션 수립 과정 1.5. Client -> Server 1.5.1. SYN 1.5.1.1. Client가 Server에 연결 요청 메세지 전송 1.5.1.2. 최초 데이터 전송 시 Sequence Number를 임의의 랜덤한 숫자 지정 1.5.1.3. SYN Flag Bit를 1로 설정한 Se..
-
Packet Analysis - 3. IP Header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16. 15:31
오늘은 IP Header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Wireshark를 통해서 이론적인 부분과 실제 Packet을 비교하는 버릇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1. IP Header 1.1. IP Header 구조 1.1.1. Version : 0x04 IPv4를 의미합니다. 1.1.2. Header Length : IP Header의 길이를 32bit 즉 4byte 단위로 나타냄. 대부분 20Byte 1.1.2.1. 필드값이 거의 5 ( 5 X 32bit(4Byte) = 20Byte ) 1.1.3. Type of Service Flags : 서비스의 우선 순위 제공 1.1.4. Total Packet Length : 전체 IP Packet의 길이를 Byte 단위로 표시 1.1.5. Fragment Ide..
-
Packet Analysis - 2.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15. 09:01
ㅎㅎ 맨날 글을 먼저 쓰다가 그림이 먼저 등장하니 당황스럽겠네요! 이래도 해보고 저래도 해보는 거죠! 옛날 삔꼽고 나오던 정찬후 생각나네요! 오늘은 IP Header 이전에 그 보다 간단한 ARP Packet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간단한 시나리오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의 1.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1.1.1. 통신하고 싶은 상대방의 IP Address를 알고 있는 경우 IP Address에 대응하는 MAC Address 주소를 가져오는 Protocol을 의미. 1.1.2. 반대로는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2. 동작 원리 2.1. 송신 2.1.1. 동일한 Network에서 Data를 전송하기 위..
-
Packet Analysis - 1. Frame Header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14. 13:04
음! 오늘부터는 Protocol을 분석하는 시간을 갖어 보겠습니다. 물론 Wireshark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지만 아직은 여러분들이 거부감을 갖을 수 있기에 그림과 설명으로 일단 시작해 보겠습니다. 우선 오늘은 그 첫번째 순서로 2계층의 Data 단위인 Frame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Frame Header 1.1. Frame Header 전체 구조 1.1.1. MAC Header : Destination Address + Source Address + Type = 14Byte 1.1.2. LLC(Logical Link Control) Frame : 46Byte (46Byte가 안되면 Padding(0x0의 값으로 채움)) 1.1.3. MAC Frame : MAC Header + LLC Fr..
-
IP Address와 Subnet - 4. Subnet의 원리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9. 06:00
그럼 이제 Subnet을 외우지 말고 2진법에 의해서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이해하기 편한 방법으로 하세요! 뭐든 상관없습니다. 일단 Subnet을 잘하게 되면 원리는 차분히 공부하셔도 되셔요! 그럼 아! 이거구나 하시게 됩니다.! 1. 기본 네트워크 1.1. Default Network로 200.200.200.0/24 가 주어졌습니다/ 1.2. 일단 Prefix를 우리가 알고 있는 Subnet Mask로 변환합니다. 1.3.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255.255.255.0 입니다. 2. 2개의 네트워크로 분리 2.1. Default Network를 2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Network ID 한자리를 늘려야 합니다. 2.2. 그러기 위해서는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