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CenTOS7 : HTTP VirtualHost & 접근제어 Configuration공부합시다!/LInux 2022. 1. 6. 11:31
임인년이 시작된지도 벌써 몇 일이 지났네요? 올해 목표들은 잘 지켜나가고 계신지요? 작심삼일도 삼일마다 한번씩 하면 120번이면 일년입니다. 조금은 편한 마음가짐으로 공부를 해 나가셨으면 합니다. 오늘은 드디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Web Service 설정입니다. 기본 설정은 일단 제외하고 NameVirtualHost와 IP별 접근제어, 사용자별 접근제어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1. 전체 구성도 2. CentOS7-1 VirtualHost 및 IP별 접근제어설정 3. CentOS7-2 VirtualHost 및 사용자별 접근제어설정 4. 방화벽 설정 5. DNS 설정 6. Test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1. 전체 구성도 1.1. web service는 1번과 2번 서버에서 모두 main page 서비스 ..
-
CenTOS7 : DNS Master & Slave Configuration공부합시다!/LInux 2022. 1. 5. 21:35
DNS 서버 역시 LoadBalnacing, Fault Tolerance, High Availability 를 고려해서 설계, 구성해야 합니다. 주 DNS 서버를 Master, 보조 DNS 서버를 Slave 구성해서 HA를 확보하도록 하겠습니다. Active-Active 상태이니 당연히 Load Balance 기능을 제공합니다. /etc/named.rfc1912zones 파일 작성이 관건입니다. 1. Master rfc1912zones 파일 2. Slave rfc1912zones 파일 3. Test 순서로 설명드립니다. 1. Master rfc1912zones 파일 2. Slave rfc1912zones 파일 3. Test 3.1. 생성하지 않은 영역파일이 복제가 되서 확인이 됩니다. 3.2. Test를..
-
CenTOS7 : DNS Configuration (Domain Name Service)공부합시다!/LInux 2022. 1. 5. 15:32
이번 포스팅은 IP Address와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DNS (Domain Name Server or Domain Name System) 입니다. 구성 절차는 1. 필수 패키지 설치 2. named.conf 설정 3. named.rfc1912zones 설정 4. 영역(zone)파일 구성 5. Test 로 구분합니다. 1. 필수 패키지 설치 1.1. # yum install -y bind bind-utils bind-libs 1.2. 설치 패키지 확인 2. named.conf 설정 2.1. 기존 파일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변경 3. named.rfc1912zones 설정 3.1. 기존 파일의 가장 끝에 아래 열줄 추가 3.2. 위 부분은 정방향 조회 영역 설정, 아래 부분은 역방향 조회..
-
CenTOS7 : Certificate Create 인증서공부합시다!/LInux 2022. 1. 4. 17:59
드디어 인증서가 등장을 하네요. 인증서는 크게 공인인증서와 사설인증서로 나뉘어 집니다. 제 삼자(인증기관)이 개입을 해서 인증서의 신뢰성을 담보합니다. 이런 제 삼자의 개입이 싫어서 탄생한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입니다. 구성원끼리 동의하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공인인증서의 경우 웹브라우저에 내장된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인증서의 신뢰성을 확보합니다. 이런 인증기관의 공개키가 없는 경우 사설인증서로 취급이 됩니다만 인증서 본래의 역할인 1. 전송 데이터 암호화 2. 종단간 신뢰성 확보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은 차후에 포스팅을 하고 일단은 사설인증서를 생성해서 사용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인 과정은 1. 개인키 생성 2. 개인키를 이용한 인증요청서 생성 3. 개인키와 인증요청서를 사용해서..
-
Jenkins : Jenkins 설치공부합시다!/Jenkins 2022. 1. 4. 16:28
각광을 받고 있는 agile 개발 방법론은 waterfall 방식의 문서 작업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개발 그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agile의 특성상 소프트웨어 개발 코드는 끊임없이 변경이 되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CI/CD 즉 지속적인 통합과 지속적인 전달 또는 배포 작업은 수시로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배포 지옥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CI/CD를 자동화 해주는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Jenkins가 바로 이러한 CI/CD의 대표적인 솔루션 입니다. 오늘은 Jenkins 첫 날로 우선 CenTOS7 환경에 구성을 해보록 하겠습니다. 물론 Docker Images를 이용하거나 Windows 환경에 설치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1. Jenkins는 JAVA로 개발된 솔루션입..
-
20단계로 따라하는 AWS Terraform : 3. subnet create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1. 4. 08:54
오늘은 subnet을 생성하는 3강 포스팅 입니다.availability zone a에 3개 (Public, Private, DB), availability zone c에 3개 (Public, Private, DB)의 Subnet을 생성합니다.그림으로 먼저 보여 드리겠습니다. 1. Subnet 구성도역시나 아직도 색감이 없네요! ㅎㅎ 2. Public Subnet Code3. Private Subnet Code 4. DB Subnet Code이로소 총 6개의 Subnet을 생성했습니다.헌데 정작 중요한 것은 subnet 생성이 아니라 해당 subnet을 어떻게 만들고 큰 Network를 작게 쪼개는 실제 Subnetting 실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입니다.이 부분에 대한 지식을 간과하면 Routing Ta..
-
20단계로 따라하는 AWS Terraform : 2. vpc create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1. 3. 18:14
20단계로 배우는 Terraform : AWS 2회차 포스팅입니다.간단하게 서울 리전 (ap-northeast-2)에 VPC를 생성하려 합니다.Subnet은 총 6개를 생성하며 a,c 가용영역을 사용하려 합니다. 우선 네트워크는 10.0.0.0/16으로 VPC를 생성합니다.VPC 이름은 sdkim-vpc로 구성합니다.본인 이니셜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1. 저는 aws에 해당 리소스를 만들려 합니다.따라서 provider를 "aws" 지정했습니다.바로 그 밑에 region은 서울 리전인 "ap-northeast-2"를 사용합니다. 2. resource 지시자는 aws상에 Terraform을 이용하여 생성할 자원을 의미합니다.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