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0단계로 따라하는 AWS Terraform : 8. NAT Gateway Routing Table Association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1. 13. 09:01
벌써 20고개중에 8고개 입니다.중간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혹시 나중에 "모듈화(재사용가능)도 할것"이냐라는 질문을 해주신 분이 계신데 당연히 합니다.그리고 GCP, Azure, Kubernetes도 예정하고 있습니다.이 블로그를 통해서 제가 아는 모든 것을 서비스 할 생각입니다.지금껏 찍어논 동영상을 Youtube에 공개할 준비도 하고 있으니 기대들 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이전에 생성한 NAT Gateway와 Subnet을 Association 하는 부분입니다.당연히 해야지 Pirvate Subnet에서 DB, OS등의 Upgrade 작업이 가능합니다.외부에서는 내부로 진입은 불가능하구요! 1. 구성도 2. Terraform Code 2.1. 기존 구성했던 NAT Routing Table ID..
-
CenTOS7 : Disk Management-3(LVM:Logical Volume Manager)공부합시다!/LInux 2022. 1. 12. 14:06
1. LVM 구성 1.1. pv - 물리적인 볼륨을 lvm으로 사용하겠다는 선언적 의미 # pvcreate 디바이스명 # pvremove 디바이스명 # pvscan # pvdisplay 1.2. vg - lv를 만들 수 있는 볼륨 공간 제공 # vgcreate vg명 pv명1 pv명2 ........... # vgremove vg명 # vgreduce vg명 pv명1 pv명2 ........... # vgextend vg명 pv명1 pv명2 ........... # vgscan # vgdisplay 1.3. lv - vg를 논리적으로 구분해서 사용 # lvcreate -L 용량 -n lv명 vg명 # lvremove 디바이스명 # lvreduce 디바이스명 -> 데이터가 디스크에 순차적으로 쓰여지는 것이..
-
20단계로 따라하는 AWS Terraform : 7. NAT Gateway Routing Table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1. 11. 18:34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NAT Gateway를 계속 진행합니다.가용 영역 a의 Public Subnet 에 NAT Gateway를 배포하고 EIP를 할당했습니다. 이 녀석에게도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해 주셔야 겠지요! 1. 구성도 구성도에 Routing Table icon을 추가하려다 지저분해 질거 같아 고민중 입니다. 2. Terraform Code 2.1. Code는 Internet Gateway에 사용하던 code 와 동일합니다.단자 gateway_id 만 NAT Gateway의 ID를 사용합니다.Have a nice day!
-
CenTOS7 : Disk Management-2(LVM:Logical Volume Manager)공부합시다!/LInux 2022. 1. 11. 15:01
어제 예고한 대로 오늘은 LVM(Logical Volume Manager)대한 포스팅 입니다. 내용이 조금 많으니 집중하셔야 할 듯! 포스팅은 내일 합니다만 중요 Issue가 있어 글 먼저 올려 놓습니다. 1. lvm 설치 # yum install -y lvm2 2. 아래와 같은 오류발생시 [root@localhost /]# lvcreate -L 2G -n sdkim1 sdkim /dev/sdkim/sdkim1: not found: device not cleared Aborting. Failed to wipe start of new LV. 중요 : # yum install libudev-devel -y =========================================================..
-
CenTOS7 : Disk Management-1공부합시다!/LInux 2022. 1. 11. 14:58
아! 드디어 Cloud의 Block Storage와 연관이 깊은 Disk관리를 시작합니다. 우선 일반적인 이론을 조금 살펴 볼께요! 1. 디스크 관리 1.1. 리눅스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 마운트 1.2. 윈도우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 드라이브명 할당. c:, d: 2. 파티셔닝 2.1.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 2.2.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개의 이상의 파티션이 존재해야 한다. 2.3. MBR방식 : 2.3.1. 최대 4개의 주(Primary) 파티션 2.3.2. 주 파티션중에서 오로지 1개의 파티션만 확장(Extended) 파티션 생성 가능 2.3.3. 확장 파티션은 다시 논리 파티션으로 분할가능(12개 -> 56개까지) 2.3.4. 단일 파티션은 최대 2..
-
CenTOS7 : /etc/default/useradd, /etc/login.defs 제어공부합시다!/LInux 2022. 1. 11. 10:29
사용자 및 그룹과 관련된 포스팅도 거의 마무리가 되어 가네요. 이제 다음은 머리 터지는 디스크관리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앗싸 파티션과 마운트 그리고 쿼타!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etc/default/useradd 파일과 /etc/login.defs 파일을 수정하면서 생성하는 사용자 계정의 변화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c/default/useradd 2. /etc/login.defs 순서로 진행 합니다. 1. /etc/default/useradd 1.1. vi 편집기를 이용해서 # vi /etc/default/useradd 파일 Open 후 아래와 같이 내용을 수정합니다. 1.1.1. GROUP=100은 -n 옵션을 사용하여 계정 생성시 사용자 ID와 동일한 그룹이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
-
CenTOS7 : File Metadata, Directory Metadata, 권한및 소유권공부합시다!/LInux 2022. 1. 10. 14:48
아! 드디어 파일의 속성(메타데이터)을 분석하는 시간입니다. 1. ls -al [root@localhost ~]# ls -al -rw-r--r--. 1 root root 18 12월 29 2013 .bash_logout - : 파일 -, 디렉토리 d, soft link l rw- : user 권한 r 4 읽기, w 2 쓰기, x 1 실행 r-- : group 권한 r 4 읽기, w 2 쓰기, x 1 실행 r-- : other 권한 r 4 읽기, w 2 쓰기, x 1 실행 . : acl 설정여부, 설정되어 있으면 + 1 : 링크의 갯수 root : owner(user) root : group 18 : 사이즈(용량) 12월 29 2013 : 마지막으로 수정한 날짜 .bash_logout : 파일, 디렉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