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CentOS7 : NFS Configuration Linux Server + Windows 11 Client
    공부합시다!/LInux 2022. 3. 24. 19:24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하게 CentOS7에서 NFS Server 구성 후 이를 CentOS7 Client와 Windows 11 Client에서

    Mount 해서 사용하도록 구성해 보려 합니다.

    파일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디스크 사용에 있어서 상당한 이점을 갖어다 줍니다.

    특히나 작은 디스크 사이즈를 원격지 대용량 디스크와 연결함으로서 실제적으로 디스크의 크기를 늘릴 수 있다는

    큰 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제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 및 가상화, Cloud에서 지원하는 NFS 구성방법은 Infra 구성의 필수라 할 수 있겠습니다.

     

    1. NFS Server

     1.1. NFS 설치

      1.1.1. # yum install -y nfs-utils

    NFS 설치

     1.2. NFS용 디렉토리 생성

      1.2.1. # mkdir /nfs-s

       1.2.1.1. NFS 서버에서 사용할 Directory 생성

      1.2.2. NFS설정 파일 열기

       1.2.2.1. # vi /etc/exports

    NFS 디렉토리 생성

     1.3. NFS 설정파일 구성

      1.3.1. 접근 대상 및 옵션 설정

        1.3.1.1. /nfs-s  10.0.0.0/24(rw,sync,no_root_squash,anonuid=0,anongid=0)

    exports 설정

      1.3.2. 옵션

       1.3.2.1. rw : 쓰기가능

       1.3.2.2. root_squash : Client에서 접속 시 익명 사용자로 처리

       1.3.2.3. all_squash : Client에서 접속 시 모든 Client를 익명사용자로 처리

       1.3.2.4. no_root_squash : Client에서 접속 시 관리자로 처리

       1.3.2.5. sync : Server와 Client 동기화, File System 변경 시 동기화

     1.4. NFS 실행

      1.4.1. # systemctl start nfs

     1.5. NFS 설정 확인

      1.5.1. # exportfs -v

    NFS 설정 확인

     1.6. 관련 Service 및 Port 확인

      1.6.1. # rpcinfo -p

    Service 및 Port

     1.7. Firewall Open

      1.7.1. # firewall-cmd --add-service=nfs

      1.7.2. # firewall-cmd --add-service=mountd

      1.7.3. # firewall-cmd --add-service=rpc-bind

    방화벽 설정

     1.8. net-tools 설치

      1.8.1. 활성화된 서비스 및 Port 확인을 위한 Net-Tools 설치

      1.8.2. CentOS7 Minimal Version에는 netstat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

    net-tools 설치

     1.9. netstat 를 통한 process 및 port 확인

      1.9.1. # netstat -natp

    netstat

     

    2. Linux Client

     2.1. nfs-utils 설치

      2.1.1. Client에서 사용하기 위한 nfs-utils 설치

       2.1.1.1. # yum installl -y net-utils

    NFS 설치

     2.2. Mount Point Directory 및 Mount 

      2.2.1. Mount에 사용할 Directory 생성

       2.2.1.1. # mkdir /nfs-c

      2.2.2. nfs mount

       2.2.2.1. # mount -t nfs 10.0.0.11:/nfs-s /nfs-c

      2.2.3. 파일시스템 확인

       2.2.3.1. # df -Th

      2.2.4. test용 파일 생성

       2.2.4.1. # touch /nfs-c/nfstest.txt

       2.2.4.2. # ls -al

    mount 및 파일 생성

     2.3. NFS Server측에서 확인

      2.3.1. # ls -al /nfs-s

      2.3.2. Client측에서 생성한 파일 확인

    Server측 확인

     

    3. Windows 11 Client

     3.1. NFS 기능 설치

      3.1.1. Windows key + r

      3.1.2. control 입력 후 확인

    실행창

      3.1.3. 제어판 

       3.1.3.1.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클릭

    제어판

      3.1.4. Windows 기능 켜기

       3.1.4.1. NFS용 서비스

       3.1.4.2. NFS용 클라이언트 + 관리도구

    NFS 기능활성화

      3.1.5. 기능 설치 완료

    설치 완료

     3.2. Mount

      3.2.1. CMD창에서 Mount

       3.2.1.1. > mount -o anon 10.0.0.11:/nfs-s z:

       3.2.1.2.  드라이브명 z 로 NFS Server Directory Mount

    mount

     3.3. Mount 확인 및 파일 생성

      3.3.1. 탐색기 -> 내 PC -> 네트워크 위치 z:  확인 -> 파일 생성 시도 -> 거부됨

    탐색기

      3.3.2. 3.3.3. 권한 설정 후 파일 생성 확인 

    파일 생성

      3.3.3. NFS Server측에서 Other에 대한 쓰기권한 부여

       3.3.3.1. # chmod o+w /nfs-s

       3.3.3.2. # ls -al /nfs-s

    NFS 디렉토리 쓰기 권한

    그리 어렵지 않으셨을 거라 믿으며

    그럼 다음 시간에는 또 뭐가 있을까요?

    슬슬 지치기도 하네요.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