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loyment
-
05_EKS-LoadBalancer 연결공부합시다!/AWS 2023. 7. 10. 00:01
이번 시간에는 생성한 EKS 클러스터를 LoadBalancer에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manifest 파일 생성 및 적용 2. Object 확인 3. LoadBalancer 생성 4. 확인 5. Cluster 삭제 순으로 진행합니다. 1. manifest 파일 생성 및 적용 1.1. 작업디렉토리 생성 및 이동 # mkdir load # cd load 1.2. namespace 생성 1.2.1. 노트패드로 notepad name.yml 네임스페이스 web생성 apiVersion: v1 kind: Namespace metadata: name: web 1.3. Deployment 생성 1.3.1. 노드패드로 dep.yml 이름의 Deployment 생성 apiVersion: apps/v1 kind:..
-
Kubernetes(K8S): yaml 파일 분석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12. 29. 09:08
K8S에서는 Object를 생성하기 위해서 yaml or json 형식을 파일을 작성합니다. 물론 yaml(야믈) 파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일단 식별하기 쉬워서 그렇겠지요! 오늘은 우리가 작성하는 yaml 정확히는 구성파일이라고 합니다. POD, Service, Deployment에 대해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긴 말 필요없이 한장짜리 그림으로 요약해 봤습니다. 1. POD와 Deployment 2. Service
-
Kubernetes (K8S):실습1: 동일POD내의 wordpress + mysql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12. 23. 10:47
모든 실습의 끝은 wordpress + mysql 접속 입니다. 오늘은 단일 pod내에서 wordress container와 mysql:5.7 container를 생성, pod를 nodeport로 연결해서 외부에 서비스하는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동일 pod내애서 두 개이상의 container를 실행하는 것을 MultiContainer라고 합니다. 기억해두세요! -> Multi Container 유형 sidecar adapter ambassador K8S에서는 pod에는 한 개의 Container를 지향합니다. 이런 구성은 권장하지 않습니다만 학습용으로! 아 그리고 꼭 kubectl cheat sheet 한번들 읽어 보세요!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ctl..
-
Kubernetes (K8S): Object - 3. Deployment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12. 16:34
POD :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추상화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도록 만드는 컨테이너 묶음. Replicaset : 일정한 갯수의 POD를 유지하는 Controller 1. 정의 1.1. POD와 Replicaset 에 대한 선언과 업데이트 제공하는 Controller 1.2. POD만으로 Service 운영시 복제 불가능 1.3.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서 복제 조절은 필수조건 1.4. POD의 복제를 비롯한 다양한 부분의 제어 가능 2. nginx Deployment 2.1. deploymemt 구성파일 2.1.1. # nginxdep.yml 작성 2.1.2. 적용 # kubectl apply -f nginxdep.yml 2.1.3. POD 확인 # kubectl get pod 2.1.4. rep..
-
Kubernetes (K8S): 개요 2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5. 10:11
자! 이전 시간에 이어서 계속 진행합니다. 3.2. K8S Namespace 3.2.1. 클러스터 안의 가상 클러스터 영역. 3.2.2. 클러스터를 처음 구축하면 default, docker, kube-public, kube-system의 네임스페이스 4개가 이미 존재. 3.2.3. kubectl get namespace 명령으로 현재 클러스터 안에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의 목록을 확인. 3.2.4. 전체 클러스터에서 리소스의 구분 용도. 3.2.5. 즉 전체 클러스터에서 특정 이름으로 클러스터의 영역을 구분. 3.3. K8S POD 3.3.1. 파드는 컨테이너가 모인 집합체의 단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 3.3.2. 여기서 말하는 컨테이너는 도커 컨테이너를 의미. 3.3.3. 쿠버네티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