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
Spanning-tree : PVSTP (Per-VLAN Spanning Tree Protocol)공부합시다!/Network 2022. 4. 19. 20:34
오늘은 spanning tree protocol 중 VLAN별로 STP를 구현하는 PVST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어제 배운 spanning tree를 vlan별로 구현하는 것 뿐입니다. VLAN별로 이중화 하기 위한 구성일 뿐입니다. 1. 문제 풀이를 통해서 학습을 합니다. 1.1. VLAN별로 STP를 구성 합니다. 1.2. VLAN은 1,2,3번을 사용합니다. 1.3. Port 정보 1.3.1. vlan 1 : 1-10 1.3.2. vlan 2 : 11-20 1.3.3. vlan 3 : 21-24 1.3.4. 그외 나머지 포트 vlan 1 1.4. 설정값 1.4.1. vlan 1 : priority 1.4.2. vlan 2 : primary, Secondary 1.4.3. vlan 3 : prio..
-
전송 매체공부합시다!/Network 2022. 3. 7. 06:00
순서가 조금 바뀐 것 같지만 어차피 가볍게 알고 넘어갈 사안들이니 그냥 가볼까요? 그럼 전송 방식에서 사용하는 전송 매체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게 3가지로 분류해 보았습니다. 헌데 사실 요즘은 거의 쓰지 않는 것도 있어서... 1. 동축케이블 2. Twist Pair 3. Fiber 순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참고로 무선은 일단 제외하겠습니다. 사실 이게 제일 중요한데.... 1. 전송 매체 1.1. 정의 1.1.1.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Data를 bit라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서 전송 1.1.2. 변환된 신호가 전송되는 물리적인 경로 1.2. 대역폭(Bandwidth) 1.2.1. 네트워크가 단위 시간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전달 용량 1.2.2. 대역폭이 높을 수록 많은 데이터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