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Active Directory - 5. 기존 Domain에 Domain Controller 추가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6. 14:21
Microsoft의 권고 사항이 아니더라도 HA, Fault Tolerance, Load Balance를 고려해서라도 동일한 Domain에 복수개(2개 이상)의 Domain Controller를 구성해야 합니다. 저는 이걸 쌍둥이 DC라고 부릅니다. 그럼 지금부터 기존 Domain에 DC를 추가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IP설정 2. ADDS설치 3. DC 승격 4. 확인 5. Test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설정(시작하기 전등) 등은 제외하니 이전 포스팅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IP설정 1.1. Domain에 추가할 서버 IP설정 1.1.1. Domain에 추가할 서버의 IP 설정 중 DNS부분을 변경합니다. 1.1.2. 반드시 1차 DNS를 첫번째 서버의 IP로 설정해서 이..
-
Terraform : 20. RDS Create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2. 5. 17:41
아! 드디어 20고개의 마지막 입니다. 언제 끝나나 했는 데 드디어 끝이 납니다. 재 사용 가능한 모듈화가 아닌 가장 평범한 방법으로 Terraform을 이용해서 Wordpress와 RDS를 연결하는 2-Tire 작업을 자동해 해봤습니다. 이제 모듈화 작업을 위한 변수에 대한 학습들을 준비해야 겠네요. 그럼 20번째 포스팅 입니다. 1. 구성도 2. Terraform Code 2.1. Code 역시 RDS생성 시 옵션값들임을 금방 아실 수 있으실 겁니다. 2.2. db_subnet_group 꼭 생성해 주셔요! 자! 그럼 다음에 뵐께요! Have a nice day!
-
Terraform : 19. RDS 생성 후 EndPoint 확인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2. 4. 18:03
자! 그럼 이제 user_data를 만들기 전에 DB를 생성해서 Endpoint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건 너무 쉬운 부분이니 마지막 DB 생성 후 Endpoint만 딱 확인하셔도 됩니다. 아시는 분들은 중간 생략! 1. RDS 검색 1.1. AWS Web Console 상단 검색창에서 rds 검색 후 조회되는 RDS 선택 1.2. RDS 생성 1.2.1. RDS Dashboard ->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1.3. DB 선택 1.3.1.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 표준 생성 1.3.2. 엔진 옵션 : MySQL 1.3.3. 에디션 : MySQL Community 1.3.4. 버젼 : MySQL 8.0.27 1.3.5. 템플릿 : 프리 티어 1.3.6. DB 인스턴스 식별자 : mydb - Endp..
-
-
Active Directory - 3. DC 내리기 및 System 초기화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4. 16:07
DC를 잘 사용하다가 내려야 할 경우가 많이 있을까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문제에 의해서 DC를 내려 Standalone으로 만들어야 한다면? 네! 아주 잘 내리고 서비스를 제거 해야만 완전 초기화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그 아주 잘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DC 내리기(승격의 반대) 2. DNS 접미사 삭제 3. 역할 삭제 순서로 진행합니다. 1. DC 내리기(승격의 반대) 1.1. 서버매니저 우측 상단 "관리" -> "역할 및 기능 제거" 클릭 1.2. 시작하기 전 (앞으로 이부분은 제외 하겠습니다.) 1.2.1. 삭제 전 고려 사항 1.3. 서버 선택 1.3.1. 역할을 삭제할 서버 선택 1.4. 서버 역할 1.4.1. 삭제 할 역할 "Active Directory 도메..
-
Active Directory - 2. ADDS + Domain Contorller 설치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4. 16:04
Windows Server는 크게 3가지의 유형으로 나뉩니다. 1. Standalone Server 1.1. Only Local Logon만 가능 1.2. Windows Server이 기본적인 유형 1.3. 상호 협업이 불가능함으로 Windows Server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없다. 2. Member Server 2.1. Local Logon과 Domain Logon 모두 가능 2.2. Domain Controller에 가입(Join)한 Server 2.3. DC의 자원(사용자, 그룹, 컴퓨터 개체등)을 가져다 쓰기 위해 사용 2.4. 대부분의 App을 이 Member Server에 설치해서 사용함. 3. Domain Controller 3.1. Domain 환경을 제어하는 Server 3.2. ..
-
Active Directory - 1. Active Directory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3. 09:38
Windows Server는 Active Directory(이하 AD) 구성 전과 구성 후로 나눌수 있을 만큼 Windows Server 계열에서는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AD와 Domain Controller(이하 DC), Member Server, 그룹 정책(Group Policy)를 식별할 수 없다면 Windows Server는 어디가서 "잘 몰라요"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만큼 Windows Server의 핵심 기능입니다. 그럼 앞으로 몇 회가 될지 모르지만 Active Directory에 대한 얘기를 해 볼까 합니다. 1. Active Directory 2. 실습환경 구성 자! 일단 이렇게 그림으로 확인을! 눈에 자꾸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
6. Virtual Network Service -2 : LoadBalancer, App Gateway, VNnet Gateway공부합시다!/AZURE 2022. 2. 2. 17:22
지난 번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해서 Virtual Network Servic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Azure Bastion 2. NAT Gateway 3. Virtual Network Peering 4. Route Table 5. Azure Load Balancer 6. Azure Application Gateway 7. Azure Virtual Network Gateway 순서로 진행합니다. 5. Azure Load Balancer 5.1. Azure Load Balancer는 BackEnd Resource로 들어오는 Network Traffic을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서비스 5.2. OSI 4계층에서 동작하며, IP Address와 Port로 Traffic을 Routing 5.3. Az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