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Podman: Container를 System Service로 관리공부합시다!/Container 2023. 1. 25. 00:13
rootless 컨테이너를 구성하기 위해서 일반 사용자는 systemd Unit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서 systemctl 명령으로 컨테이너를 일반 시스템 서비스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systemd 유닛을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방법은 주로 확장할 필요가 없는 기본 및 소규모 배포에 유용합니다. 더 정교하게 확장하고 오케스트레이션하기 위해 Red Hat OpenShift Container Platform과 같은 Kubernetes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사용자 생성 2. Container 환경 설정 3. Container 실행 4. systemd unit 만들기 5. loginctl 설정 6. Test 순서로 진행합니다.
-
Rocky9: SELinux공부합시다!/LInux 2023. 1. 20. 00:15
음! 강의시간에나 현업에서도 통상적으로 꺼놓고 사용하는 SELinux! NSA(미국국토안보부)가 개발해서 Linux 재단에 기부한 Linux 보안성 향상 솔루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NSA 이거보다 더 낳은 차세대 SELinux를 사용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만 - 음모론! ㅎㅎ 1. SELinux 적용모드 2. SELinux File Context Control 3. Boolean을 활용한 SELinux 정책 제어 4. SELinux 문제 점검 및 해결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1. SELinux 적용모드 1.1. SELinux 특징 1.1.1. SELinux는 프로세스와 리소스 간에 허용된 작업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액세스 규칙 집합을 적용 1.1.2. 액세스 규칙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작업은 허용..
-
6. Tuple공부합시다!/python 2023. 1. 20. 00:15
지난번 List에 이어서 이번에는 Tuple 입니다. List보다 제약사항이 조금 많습니다. 주의해서 사용하세요! # Tuple(순서0, 중복0, 수정X, 삭제X) # 변경이 되면 안되는 값들에 사용(중요데이터) # 자료의 끝에는 , a = () b = (1,) c = (1, 2, 3, 4) d = (10, 100, ('a', 'b', 'c')) #삭제 불가 테스트 #del(c[2]) print(c[2]) print(c[3]) print(d[2][1]) print(d[2:]) print(d[2][0:2]) #연산 print(c + d) print(c * 3) print() # Tuple 함수 z = (5,2,4,1,3,1) print(z) print(3 in z) print(z.index(2)) prin..
-
가위 - 작자 미상의 한시행복한 얘기들 2023. 1. 20. 00:15
有意雙腰合 유의쌍요합 뜻이 맞아 두 허리를 합하고 (좋다. 얼쑤) 多情兩脚擧 다정양각거 다정하게 두 다리를 들었네 (난리도 아니다. 여기저기 환호성) 動搖於我在 동요어아재 움직이고 흔드는 것은 내가 할테니 (친절도 하셔라) 深淺任君裁 심천임군재 깊고 얕은 건 당신께 맡기겠소 (마저 해주지 걸 시키나)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에 나오는 '가위'라는 작자미상의 한시 생각을 달리하면 '가위'가 보이고 쓰인 그대로 생각하면 야한(?) 상상을 하게 됩니다. 어쩔거나! 난 아무리 생각해도 '가위'란 생각은 안들고 춘화도의 한 장면만 생각이 나니......
-
5. List공부합시다!/python 2023. 1. 19. 00:14
자료형 중 List 시간 입니다. 대괄호, 중괄호, 소괄호가 모두 의미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name1 = 'Lee' name2 = 'Park' # 파이썬 데이터 타입(자료형) # List, Tuple # List (순서0, 중복0, 수정0, 삭제0) # 선언 [] 대괄호 사용 a = [] b = list() c = [1, 2, 3, 4] d = [10, 100, 'pen', 'Banana', 'Orange'] e = [10, 100, ['pen', 'Banana', 'Orange']] # Indexing print(d[3]) print(d[-2]) print(d[0] + d[1]) # d와 e에서 Banana만 꺼내기 print(d[3]) print(e[2][1]) print(e[-1][-2]) pri..
-
Rocky9: Network Management공부합시다!/LInux 2023. 1. 19. 00:14
RHEL9을 설치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아마도 Network 설정일 겁니다. 오늘은 바로 그 Network를 제어하는 Network Management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TCPIP/OSI7 Layer 1.1. TCP/IP Network Model: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 데이터 통신을 패킷화, 주소 지정, 전송, 라우팅 및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간소화된 4계층 통신 프로토콜 1.1.1. Application 1.1.1.1. 각 애플리케이션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플랫폼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사양 1.1.1.2. 공통 프로토콜에는 SSH, HTTPS, FTP, SMTP가 포함 1.1.2. Transport 1.1.2.1. TCP 및 UDP는 전송 프로토콜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