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LInux
-
Shell Script - 1공부합시다!/LInux 2023. 2. 9. 00:14
자! 드디어 엔지니어에게 필수인 스크립트 부분입니다. 너무 간단하지도 너무 복잡하지도 않게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단 정규 표현식은 자주자주 접하셔서 익숙해 지도록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의의 2. 스크립트 순으로 진행합니다. 1. 의의 1.1. Bash 쉘 스크립트는 명령 목록이 포함된 실행 파일로, 프로그래밍 논리와 함께 전체 작업의 의사 결정을 제어. 1.2. 잘 작성된 쉘 스크립트는 그 자체가 강력한 명령줄 도구이며, 다른 스크립트와 함께 사용 가능. 1.3. 쉘 스크립팅을 능숙하게 다루는 능력은 모든 작업 환경의 시스템 관리자에게 필수. 1.4. 쉘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일상적인 작업을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음 2. 스크립트 2.1. command interpriter 지정 2...
-
Rocky9: root password reset공부합시다!/LInux 2023. 2. 1. 00:13
음! 오늘은 root 계정의 password reset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일단은 redhat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1. 기존 password 변경 1.1. 시스템에 root 사용자로 로그인 후 혹은 sudo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사용자의 패스워드 변경 1.2.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재부팅 해서 기존 패스워드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음을 확인합니다. 2. 콘솔에서 vm를 재부팅 합니다. 2.1. vm 선택 -> power -> Restart Guest 선택 3. 재부팅후 rescue mode 의 kernel 선택 3.1. 통상적으로 아래쪽 image 입니다. 3.2. 선택후 'e' 키를 입력 4. rd.break 4.1. 4번째줄 linux 시작하는 줄에서 ctrl+e를 누르면 해당 줄..
-
Rocky9: 파일시스템(File System)문제로 인한 Booting 문제 해결공부합시다!/LInux 2023. 1. 31. 00:12
Password를 몰라서 Login을 하지 못하는 문제와 File System 문제로 Boot이 안될 시 문제해결 방법에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File System 문제로 인하여 Booting이 안될 경우에는 해당 Booting Kernel 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물론 이때 Read Only 상태로 Booting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수정해서 /etc/fstab을 수정한 후 다시 Booting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1. file system 문제 만들기 1.1. GPT 형식의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 만들기 1.2. 파일 시스템 생성. xfs 방식 1.2.1. 간혹 이전에 사용하던 파일시스템의 Signature가 남아 있는 경우 문제가 발생 1.2.2. # wipefs -a /dev/s..
-
Rocky9: Auto FS 자동 마운트(직접 맵과 간접 맵)공부합시다!/LInux 2023. 1. 30. 00:11
오늘은 NFS(Nework File System) 기능의 확장판인 Auto FS에 대해서 포스팅 합니다. 자동 마운트는 원격 파일 시스템을 사용 할때에는 mount가 되고 사용을 하지 않때는 umount가 되는 개념입니다. 일반사용자에게 mount 명령을 사용할 충분한 권한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되었습다. 필요하지 않을 때 파일시스템을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손상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합니다. Master Map, Direct Map(경로를 아는 경우), Indirect Map(경로를 모를 때) 의 구성요소를 포함합니다. 1. NFS 구성 2. Auto FS (직접 맵) 3. Auto FS (간접 맵) 4. Test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1. NFS 구성 1.1. master vm에..
-
-
Rocky9: Stratis공부합시다!/LInux 2023. 1. 26. 00:14
새로운 기술들이 나오면 또 따라가야겠죠! 오늘은 따끈한 Storage 관리 기술인 Stratis 입니다. Red Hat과 Fedora Community 에서 공동 개발한 기술인데 Thin Provisioning과 snapshot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1. Stratis 개요 2. Stratis 특징 3. Stratis 관리 순서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Storage Stack 입니다. 좌측이 아래쪽, 우측이 위쪽이라 생각하세요 1. Stratis 개요 1.1. Red Hat 과 Fedora Community에서 개발한 Local Storage Management Tool 1.2. Storage 초기 구성, Storage 구성 변경, 고급 Storage 기능 사용 용이 2. Stratis 특..
-
Rocky9: SELinux공부합시다!/LInux 2023. 1. 20. 00:15
음! 강의시간에나 현업에서도 통상적으로 꺼놓고 사용하는 SELinux! NSA(미국국토안보부)가 개발해서 Linux 재단에 기부한 Linux 보안성 향상 솔루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NSA 이거보다 더 낳은 차세대 SELinux를 사용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만 - 음모론! ㅎㅎ 1. SELinux 적용모드 2. SELinux File Context Control 3. Boolean을 활용한 SELinux 정책 제어 4. SELinux 문제 점검 및 해결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1. SELinux 적용모드 1.1. SELinux 특징 1.1.1. SELinux는 프로세스와 리소스 간에 허용된 작업을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액세스 규칙 집합을 적용 1.1.2. 액세스 규칙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작업은 허용..
-
Rocky9: Network Management공부합시다!/LInux 2023. 1. 19. 00:14
RHEL9을 설치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아마도 Network 설정일 겁니다. 오늘은 바로 그 Network를 제어하는 Network Management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TCPIP/OSI7 Layer 1.1. TCP/IP Network Model: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 데이터 통신을 패킷화, 주소 지정, 전송, 라우팅 및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간소화된 4계층 통신 프로토콜 1.1.1. Application 1.1.1.1. 각 애플리케이션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플랫폼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사양 1.1.1.2. 공통 프로토콜에는 SSH, HTTPS, FTP, SMTP가 포함 1.1.2. Transport 1.1.2.1. TCP 및 UDP는 전송 프로토콜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