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Kubernetes
-
Kubernetes(K8S): kubeclt cp 와 tar 다중 파일 복사공부합시다!/Kubernetes 2023. 1. 7. 00:16
안녕하세요! ㅎㅎ K8S환경에서도 docker와 동일하게 local host와 Pod, Pod와 local host사이의 파일 복사가 가능합니다. 물론 tar를 이용해서 다중 파일 복사도 가능합니다. 모두 docker와 동일합니다. 2023.01.06 - [공부합시다!/Container] - Docker: 다중 파일 복사 2022.05.27 - [공부합시다!/Container] - Docker : cp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Docker : cp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드디어 밀린 포스팅들을 작성하네요! 포스팅하는 날짜는 6월 3일 입니다. 사람은 거짓말 하고 살면 안돼요! 그럼 눈빛과 낯빛에 어둠이 드리워 집니다. 환했던 사람이 어두워 지는 건 바로 이 거 virtualtech.tistory.com 1..
-
Kubernetes(K8S): Helm + Prometheus + Grafana공부합시다!/Kubernetes 2023. 1. 6. 00:15
오늘은 K8S의 패키지 관리 echo system인 helm을 이용해서 Prometheus Stack을 설치합니다. 1. Helm: K8S chart(Package) 관리 시스템 2. Prometheus Stack 2.1. Prometheus: K8S Resource Mornitoring System(CPU, Memory 위주) 2.2. Grafana: Mornitoring System 시각화 3. 설정 변경 후 확인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1. Helm: K8S chart(Package) 관리 시스템 1.1. helm 설치 스크립트 다운로드 및 실행 1.2. repository 구성 및 update 1.3. 간단한 Helm 사용법 1.3.1. helm 설치 # curl -fsSL -o get_helm...
-
Kubernetes(K8S): DaemonSet & StatefulSet공부합시다!/Kubernetes 2023. 1. 4. 00:13
간단하게 말하자면 DaemonSet은 모든 Node 또는 특정 label를 가진 node에 하나씩의 동일한 pod를 배포해주는 resource, StatefulSet은 Pod(Pod내의 App)의 상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Resource 입니다. 1. DaemonSet 1.1. Worker Node의 Resource Mornitoring용 App 이나 Log 수집기를 배포할 때 사용됨 1.2. Pod를 Node에 하나씩 배포 - 별도의 Replicas를 설정하지 않음. 1.3. DaemonSet이 구동중인 Cluster에 Node가 추가되면 해당 Node에도 DaemonSet Pod가 배포됨. 1.4. 삭제된 DaemonSet Pod가 다른 Node로 이동하지는 않음. apiVersion: apps/v1..
-
Kubernetes(K8S): Job & CronJob공부합시다!/Kubernetes 2023. 1. 3. 00:12
Linux를 운영할 때 단순 1회성 작업은 at, 주기적인 작업은 cron으로 처리를 했습니다. 2023.01.03 - [공부합시다!/LInux] - CentOS7: at & cron K8S에서 역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단순 1회성 작업은 Job, 주기적인 작업은 CronJob으로 처리를 합니다. 아래 hello world를 10번 출력하는 code를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vi for.sh #! /bin/bash for a in {1..10} do echo hello world: $a done # sh for.sh hello world: 1 hello world: 2 hello world: 3 hello world: 4 hello world: 5 hello world: 6 hello wo..
-
Kubernetes(K8S): Multi Container POD공부합시다!/Kubernetes 2023. 1. 2. 00:11
1. 멀티 컨테이너 파드(Multi Container POD): 1.1. POD내에 2개이상의 Container를 포함 1.2.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POD안에는 하나의 Container를 지향 1.3. 필요에 따라서 Main Container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역할의 Container를 추가해서 운영가능 1.4. Main Process를 Network 또는 Storage의 밀접한 공유가 필요한 다른 Container와 함께 운영할 때 고려 2. Kubernetes 설계 방식 - 전체 서비스를 기능 단위로 분산, Pod를 최소의 배포 단위로 구성 2.1. 동일 Pod내의 Container들은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동작 2.2. 동일한 IP주소와 Port를 공유 2.3. 따라서 동일한 Port를..
-
Kubernetes (K8S): Object - 2. POD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12. 30. 16:32
1. 개요 1.1. K8S 구성요소 중 가장 작은 단위 1.2. Cluster의 Running Process 1.3. K8S의 Container 역할 1.3.1. docker 에서는 단일 Container가 가장 작은 단위의 객체 1.3.2. K8S에서는 POD 내에 여러 Container 존재 - 권장하지 않습니다. 1.4. POD내의 Container 들은 IP주소와 Port 공간을 공유, Localhost를 통해서 서로 검색가능 2. LifeCycle 2.1. Pending 2.1.1. POD가 K8S에 의해서 승인 2.1.2. 아직 Container 이미지가 생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2.1.3. node에 배치되기 이전 시간 및 이미지 다운로드 시간 포함 2.2. Running 2.2.1. PO..
-
Kubernetes (K8S): Scheduling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12. 30. 00:15
Scheduling 이란 Kubernetes에서 node의 상황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Pod를 배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Scheduling 의미는 1). Kubernetes는 대부분 Multinode로 운영된다. 2). 여러개의 node를 하나의 인스턴스로 사용하는 효과를 준다. 3).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인스턴스를 사용하지만 Kubernetes 여러대의 node를 관리함으로 pod를 어떤 node에 배치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스케줄링 순서 1.1. User가 K8S에게 Pod 생성 요청 1.2. K8S는 받은 모든 요청을 API Server가 제어,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은 API Server로 전달됨. 1.3. API Server는 etcd에 정보를..
-
Kubernetes(K8S): yaml 파일 분석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12. 29. 09:08
K8S에서는 Object를 생성하기 위해서 yaml or json 형식을 파일을 작성합니다. 물론 yaml(야믈) 파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일단 식별하기 쉬워서 그렇겠지요! 오늘은 우리가 작성하는 yaml 정확히는 구성파일이라고 합니다. POD, Service, Deployment에 대해서 분석해 보겠습니다. 긴 말 필요없이 한장짜리 그림으로 요약해 봤습니다. 1. POD와 Deployment 2.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