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Active Directory - 13. 새로운 Domain Tree Root 만들기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15. 16:21
Child Domain에 이어서 새로운 챕터의 시작이네요! DC 만들기의 마지막 옵션 중 RODC를 제외한 마지막 입니다. 1. 새 Forest 추가 2. 기존 Domain에 Domain Controller 만들기 3. 기존 Forest에 새 Domain 만들기 : Child Domain 4. 기존 Forest에 새 Domain 만들기 : 새로운 Domain Tree Root 만들기 이렇게 총 4개 였습니다. 이제 그 대단원의 마지막 입니다. 물론 아직 RODC가 남아 있습니다만...... 다음은 아무래도RODC(Read Only Domain Controller) 포스팅이 될 듯 합니다. 그룹 정책 (Group Policy)는 언제 하려나? Have a nice day!
-
Active Directory - 12. Metadata 정리 후 Child Domain 재설치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14. 18:25
메타데이터 정리를 했으니 이제 다시 자식 도메인 설치를 해봐야죠! 당연히 이전과 동일한 이름으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정말 여러분이 Metadata 정리를 완벽히 했다면 동일한 이름의 Child Domain이 아무런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될것입니다. 1. 배포구성 짜잔! 정상적으로 설치됐다고 얼 빼시면 안됩니다. 상대방의 DNS를 보조DNS로 구성하는 작업 꼭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ave a nicd day!
-
Active Directory - 11. Site & Subnet Create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13. 14:40
Forest를 IP Subnet으로 분리한 것을 Site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ite 및 Subnet 을 생성해 배치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1. Site 만들기 2. Subnet 생성 후 배치하기 순서로 진행합니다. 1. Site 만들기 2. Subnet 생성 후 배치하기 다음은 어떤 포스팅 일까요? 아마도 새로운 도메인 트리루트 만들기가 아닐까 합니다. Have a nice day!
-
Linux 기본 명령어공부합시다!/LInux 2022. 2. 13. 13:08
수업 중 실습했던 Linux 기본명령어 자료입니다. 특히 cd 학습 시 익힌 절대 경로, 상대 경로의 개념 확실히 이해하셔야 합니다. Directory 이동이 자유자재로 되셔야 합니다. 1. ls : 디렉토리 내용 출력 (list) 1.1. -a : 모든(숨김) 파일 및 디렉토리 출력 1.2. -l :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메타데이터)정보 출력 1.3. -h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사이즈를 가독성 좋게 변경해서 출력 1.4. -R :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 목록 나열 1.5. -i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inode number 출력 1.6. pwd (Present Working Directory) 1.6.1. 현재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Directory 확인 2. mkdir(Make Dir..
-
Active Directory - 8. 부모 & 자식 도메인 Trust 관계 Test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10. 18:13
순서가 조금 바뀌기는 했지만 오늘은 부모와 자식 도메인간의 Trust 관계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1. 지역(부산)의 AD 관리자가 출장으로 부재, 본사(서울) DC 관리자가 부산 DC 제어 가능 여부 2. 본사(서울)의 AD 관리자가 출장으로 부재, 지역(부산) DC 관리자가 서울 DC 제어 가능 여부 3. 부산 DC 사용자가 서울로 출장(노트북 지참), 부산 DC계정으로 Login 가능 여부 4. 서울 DC에 공유 폴더 생성 후 부산 DC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권한 부여 받은 후 자원접근 및 권한 사용 내용이 많은 듯 하지만 실제로 Test에 그리 많은 시간이 들지는 않습니다. 그럼 순서대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1. 지역(부산)의 AD 관리자가 출장으로 부재, 본사(서울) DC 관리자가 부산 DC..
-
Active Directory - 7. 자식 도메인 (Child Domain) 만들기, 작업마스터비활성화 테스트, DNS 보조 영역 만들기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8. 18:36
이전 포스팅에서 동일한 도메인에 도메인 컨트롤러 추가! 즉 쌍둥이 DC까지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자식 도메인 즉 Child Domain 만들기를 구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hild Domain을 만드는 조건은 RODC와 비교해서 공부하시는게 좋습니다. 반드는 조건이 정반대인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조건 Child Domain RODC 1. 관리자유무 지역에 ADDS의 관리자가 존재할 때 지역에 ADDS 관리자가 없을 때 2. 물리적 보안 물리적인 보안을 담보할 수 있을때(접근통제등) 물리적인 보안을 담보할 수 없을 때 3. 상위 DC 형태 상위단에 부모 도메인이 존재할 때 상위단에 쓰기 가능한 DC가 존재할 때 RODC의 경우 소규모 지사에 구성하기 적당하며 - DC를 분실해도 문제가 없기 ..
-
Active Directory - 5. 기존 Domain에 Domain Controller 추가공부합시다!/WindowsServer 2022. 2. 6. 14:21
Microsoft의 권고 사항이 아니더라도 HA, Fault Tolerance, Load Balance를 고려해서라도 동일한 Domain에 복수개(2개 이상)의 Domain Controller를 구성해야 합니다. 저는 이걸 쌍둥이 DC라고 부릅니다. 그럼 지금부터 기존 Domain에 DC를 추가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IP설정 2. ADDS설치 3. DC 승격 4. 확인 5. Test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설정(시작하기 전등) 등은 제외하니 이전 포스팅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IP설정 1.1. Domain에 추가할 서버 IP설정 1.1.1. Domain에 추가할 서버의 IP 설정 중 DNS부분을 변경합니다. 1.1.2. 반드시 1차 DNS를 첫번째 서버의 IP로 설정해서 이..
-
20단계로 따라하는 AWS Terraform : 20. RDS Create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2. 5. 17:41
아! 드디어 20고개의 마지막 입니다.언제 끝나나 했는 데 드디어 끝이 납니다.재 사용 가능한 모듈화가 아닌 가장 평범한 방법으로 Terraform을 이용해서Wordpress와 RDS를 연결하는 2-Tire 작업을 자동해 해봤습니다. 이제 모듈화 작업을 위한 변수에 대한 학습들을 준비해야 겠네요.그럼 20번째 포스팅 입니다. 1. 구성도 2. Terraform Code 2.1. Code 역시 RDS생성 시 옵션값들임을 금방 아실 수 있으실 겁니다. 2.2. db_subnet_group 꼭 생성해 주셔요!자! 그럼 다음에 뵐께요!Have a nice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