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rraform : 3. subnet create공부합시다!/Terraform 2022. 1. 4. 08:54728x90
오늘은 subnet을 생성하는 3강 포스팅 입니다.
availability zone a에 3개 (Public, Private, DB), availability zone c에 3개 (Public, Private, DB)의 Subnet을 생성합니다.
그림으로 먼저 보여 드리겠습니다.
1. Subnet 구성도
Subnet 구성도 역시나 아직도 색감이 없네요! ㅎㅎ
2. Public Subnet Code
Public Subnet 3. Private Subnet Code
Private Code 4. DB Subnet Code
DB Subnet 이로소 총 6개의 Subnet을 생성했습니다.
헌데 정작 중요한 것은 subnet 생성이 아니라 해당 subnet을 어떻게 만들고
큰 Network를 작게 쪼개는 실제 Subnetting 실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에 대한 지식을 간과하면 Routing Table등을 이해하실 수 없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Internet Gateway 생성 및 Routing Table 등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Have a nice day!
728x90'공부합시다! > Terra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raform : 5. Routing Table & Subnet Association (0) 2022.01.07 Terraform : 4. Internet Gateway Create (0) 2022.01.05 Terraform : 2. vpc create (0) 2022.01.03 Terraform : 1. ssh-key pair & public key upload (2) 2022.01.02 provisioner 활용 - Terraform으로 ec2 파일 업로드 및 실행 : 2 (6) 2021.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