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ali 한글화: Kali Linux 2025 한글화: Kali Linux 2025.3 한글화
    공부합시다!/모의해킹 2025. 11. 13. 10:30
    728x90

    Kali Linux 한글화 작업을 검색하면 대부분 사용자 계정으로 설정한 것들 뿐!
    실제 root 계정의 한글화 작업은 마지막에 환경 변수를 등록해야 하는 작업이 존재한다.

    일반 사용자가 아니라 root이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일반 사용자는 그냥 설치만 하셔도 한글이 동작합니다.

     

    해서 제대로된 한글화 작업 순서를 설명합니다.

    우선 Kali Linux 설치 시 설치 언어 및 KeyBoard는 한글을 선택해서 설치를 합니다.

     

    1. 설치 후 Login 시 한글깨짐. 글꼴이 없으니 당연하지요! 

    일단 Kali 설치 시의 사용자 계정으로 Login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해 주면 Debian 계열도 root로 Login이 가능해 집니다.

     

     

    2. root 사용자로 Login

     

     

    3. 한글 nanum 폰트와 확장입력기 fcitx 및 fcitx-hangul 패키지를 설치 합니다.

     

     

    4. 패키지 설치 후 input method 검색 후 

     

     

    5. 아래의 절차 대로 수행 합니다. 마지막에 fcitx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6. 그리고 fcitx 선택(별다른 변화 없습니다.)

     

     

    7. fcitx confiuration을 선택합니다.

    헌데 대부분의 사이트가 이 부분에서 hangul이 검색이 된다 하는데 실제로는 되지 않습니다.

     

     

    8. 이 부분에서 반드시 환경 변수를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 env 명령어로 환경 변수를 살펴보면 LANG=C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9. /root/.profile을 편집기로 열어 줍니다.

     

     

    10. LANG=ko_KR.UTF-8 으로 변경해 주세요.

    LANGUAGE=ko_KR.UTF-8 으로 변경 후 저장합니다.

     

     

    11. 재부팅

     

     

    13. 부팅 후 글꼴이 정상적으로 표시됨을 확인합니다.

    login 후 /root의 하위 디렉토리명을 한글로 변경할 지 물어보면 그대로 유지를 선택하세요.

    한글로 변경하면 디렉토리 이동 시 매번 ctrl+space로 한글 변경 후 이동해야 함으로 번거로워 집니다.

     

     

    14. 편집기도 이쁘게 한글로....

     

     

    15. 마무리 작업을 진행하셔야죠!

     

     

    16. fcitx configuration에서 Hangul을 등록해 주세요!

     

     

    17. ctrl+space가 기본 변경키 입니다.

     

     

    18. 잘 표현이 되지요!

     

     

    19. 저 하위 디렉토리는 그대로 영문으로 쓰세요.

    한글도 변경하면 디렉토리 이동 시 불편해 집니다.

     

     

    20. 변경 작업 완료 후 환경 설정 파일 확인

     

    googlel 검색을 100% 믿지 마세요!

    검증도 안하고 자료 올리는 분들도 많습니다.

     

    Have a nice day!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