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단계로 따라하는 Azure Terraform: 4. Subnet 생성공부합시다!/Terraform 2025. 4. 30. 11:21728x90
Azure Subnet 생성 시에는 미리 계획을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물론 모든 Cloud에서 그러하겠지만.....
Nat Gateway를 생성하면 반드시 해당 Subnet이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Public IP 역시
해서 일단 계획을 잘 세워두시는게 좋습니다.
WEB Portal에서 학습 시 미리 어떤 Subnet들이 생성되는 지 유심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해당 Subnet에 VM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DHCP에 의해서 4번 IP 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no Subnet 이름 IP 대역 역할 1 sdkim-bat 10.0.0.0/24 Bastion VM 2 sdkim-load 10.0.1.0/24 ScaleSet 3 sdkim-nat 10.0.2.0/24 NAT Gateway 4 sdkim-web1 10.0.3.0/24 Wordpress VM 5 sdkim-web2 10.0.4.0/24 Wordpress VM 6 sdkim-db 10.0.5.0/24 MySQL DB VM 자 다음 시간에.....
728x90'공부합시다! > Terra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단계로 따라하는 Azure Terraform: 6. NIC(Network Interface Card) 생성 (0) 2025.04.30 20단계로 따라하는 Azure Terraform: 5. Public IP 생성 (0) 2025.04.30 20단계로 따라하는 Azure Terraform: 3. 가상네트워크 만들기 (0) 2025.04.23 20단계로 따라하는 Azure Terraform: 2. 리소스 그룹 만들기 (0) 2025.04.23 20단계로 따라하는 Azure Terraform: 1. init.tf (0)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