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g file
-
Kubernetes (K8S): Object Config File(구성파일: yaml)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21. 06:32
최근 들어 Infra를 Code 형태로 관리하는 IaC(Infrastructure As Code)가 각광을 받고 있다. Infra를 Source 코드화 해서 사용을 하면 대량 배포 시 멱등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배포 후 변경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K8S에서는 Object를 배포, 삭제, 변경하거나 Object의 정보확인 시 개별 명령어를 각각 입력할 필요없이 설정 파일을 명령으로 실행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K8S 역시 명령어보다는 설정 파일의 형태로 관리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https://github.com/kubernetes/examples/tree/master/guestbook/all-in-one 참조할 예제 파일들이 존재 1. Field 1.1. apiVersion 1.1.1...
-
Kubernetes (K8S): Object - 1. NameSpace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10. 16:44
Namespace는 하나의 물리적인 공간에 존재하는 K8S를 논리적인 작업환경으로 분리 서로 다른 Namespace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팀별 서로 다른 K8S 작업환경이 필요하다면 Namespace로 분리한다. 명령어로 할 수 있는 작업은 모두 yaml 파일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반대도 1. Namespace 확인 및 생성, 삭제 1.1. 생성 # kubectl create namespace NAME 1.2. 확인 # kubectl get namespace 1.3. 삭제 kubectl delete namespace NAME 1.4. 실습 1.4.1. 1team, 2team Namespace 생성 및 확인 1.4.2. 1team, 2team Namespace 삭제 및 확인 2. co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