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
-
03_EKS(Elastic Kubernetes Service) 구성공부합시다!/AWS 2022. 6. 26. 12:56
자 오늘은 AWS의 K8S 관리형 서비스인 EKS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IAM에 역할 추가를 해야함으로 주의해 주세요~ 1. 역할 생성 1.1. Master node 역할 생성 1.1.1. IAM -> 역할만들기 클릭 1.1.2. AWS 서비스 -> EKS 검색 -> EKS-Cluster 선택 -> 다음 1.1.3. 권한 정책 확인 -> 다음 1.1.4.역할 이름(EKS_CLU) 설정 후 생성 클릭 1.2. Worker Node 역할 생성 1.2.1. Master Node 역할 (EKS_CLU) 확인 후 역할 만들기 클릭 1.2.2. AWS 서비스 선택 -> EC2 선택 -> 다음 1.2.3. 권한 추가 -> 권한 정책 eks 검색 -> AmazonEKS_CNI_Policy, AmazoneEKS_Work..
-
Kubernetes (K8S): Object - 7. Node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16. 06:23
1. 정의 1.1. POD를 실행할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 1.2. 대부분 하나의 VM으로 구성되어 있음 or 물리적인 Host 1.3. Node상의 Service 1.3.1. Container Runtime 1.3.2. Kubelet 1.3.3. Kube-Proxy 1.4. Cluster는 node의 집합 2. Node 상태 2.1. Ready 2.1.1. Node의 상태가 양호하여 POD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 True 2.1.2. Node의 상태가 불량하여 POD를 수용하지 못할 경우 False 2.1.3. Node Controller가 마지막 Node-monitor-grace-period (기본값 40, 기간동안 Node 응답 수신 불량) Unkonwn 2.2. NotReady 2.2.1..
-
GIT Checkout (시간 여행 : Time Machine)공부합시다!/GIT&GITHUB 2022. 4. 12. 18:50
자! 오늘은 드디어 시간 여행의 시간입니다. GIT을 이용해서 특정 시점으로 파일 버전을 되돌리는 방법입니다. 그래서 시간 여행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벨트 꽉 메시길..... 1. 기존 파일 변경사항 추적 1.1. 변경 사항 추적 1.1.1. # git log 1.1.2. msg2의 commit id 확인 1.2. 과거로의 여행 1.2.1. # git checkout COMMIT ID 2번 1.2.2. # ls -al 1.2.3. # cat test1.txt 1.3. 이전 과거로의 여행 1.3.1. # git log 1.3.2. msg1의 COMMIT ID 1번 확인 1.3.3. # git checkout COMMIT ID 1번 1.3.4. 파일 확인 1.3.5. # ls -al 2. 최근 시점으로 되돌..
-
Jenkins: 젠킨스 분산 빌드 환경 구성(2024년 7월 24일 내용추가)공부합시다!/Jenkins 2022. 2. 23. 17:04
간만에 다시 Jinkins로 돌아오네요!이전 시간에 Jenkins를 설치해 보았습니다.이번 시간에는 Master 1대와 Slave2대(Node1, Node2)로 구성된 분산 빌드 환경을 구성하겠습니다. 하나의 Jenkins에 너무 많은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장애에 대비할 수 있으니CI/CD의 Load Balancer 구성이라 생각해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2024년 7월 24일 AgentPort 내용 추가 1. Master 작업 1.1. Jenkins 접속 1.1.1.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초기 설치 후 /etc/sysconfig/jenkins 파일에서 지정한 포트 접속 1.1.2. Jenkins 관리 -> 노드 관리 클릭 1.2. 신규 노드 생성 1.2.1. 신규 노드 클릭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