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plane
-
Kubernetes (K8S): 개요 2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5. 10:11
자! 이전 시간에 이어서 계속 진행합니다. 3.2. K8S Namespace 3.2.1. 클러스터 안의 가상 클러스터 영역. 3.2.2. 클러스터를 처음 구축하면 default, docker, kube-public, kube-system의 네임스페이스 4개가 이미 존재. 3.2.3. kubectl get namespace 명령으로 현재 클러스터 안에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의 목록을 확인. 3.2.4. 전체 클러스터에서 리소스의 구분 용도. 3.2.5. 즉 전체 클러스터에서 특정 이름으로 클러스터의 영역을 구분. 3.3. K8S POD 3.3.1. 파드는 컨테이너가 모인 집합체의 단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 3.3.2. 여기서 말하는 컨테이너는 도커 컨테이너를 의미. 3.3.3. 쿠버네티스를..
-
Kubernetes (K8S): 개요 1공부합시다!/Kubernetes 2022. 6. 4. 06:40
Container 오케스트레이션 툴 쿠버네티스 오늘부터 그 K8S를 해부합니다. 짜잔 학습순서는 이렇게 해보세요. pod -> pod내 container -> service -> deployment -> ingress -> volume -> label -> configmap,secret -> networking 을 권장해 드립니다. 저는 이렇게 공부하는게 편안했습니다. 1. 배포환경의 변화 1.1. 말이 필요없습니다. 그림으로 1.2. Private, Public Cloud 그리고 Virtualization의 궁극적인 목적은 Application을 잘 실행하기 위한 것. 1.3. Server vs Client Model, Web Application 모두 같은 목적을 추구함. 1.4. Mig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