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work 와 OSI 7 Layer공부합시다!/Network 2022. 2. 22. 17:58728x90
자! 그럼 슬슬 Network 얘기를 본격적을 해볼까요!
1. Network 정의
1.1. 두 대 이상의 System이 서로 연결하여 Data를 주고 받는 것(통신)
1.2. IEEE(Insti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국제전기전자 공학회)
: 몇개의 독립적인 장치가 적절한 영역내에서 적당히 빠른 속도의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체계
뭐든 상관없습니다. 여러분이 이해하기 편한 쪽으로 받아들이세요!
그리고 공부하면서 잘못된 것이 있으면 수정해 나가면 됩니다.
무엇을 모르고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를 알아가는 게 공부입니다. 그러니 쫄지말고 GO
저 역시도 잘못알고 있는게 많으니 앞으로도 공부해 나가면 깨달아야 합니다.
2. Network 종류 : 대체적으로 규모 및 거리로 구분합니다.
2.1. PAN(Personal Area Network)
2.1.1. 가장 소규모 Network
2.1.2. 10M 이내
2.1.3. Bluetooth
2.2. LAN(Local Area Network)
2.2.1. 근거리 영역, 통상 동일 건물내
2.2.2. 150M 이내
2.2.3. Ethernet, Wi-Fi
2.3.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2.3.1. 도시 영역
2.3.2. 50Km 이내
2.3.3. 서로 다른 위치의 공공기관 통신, 예전의 WIMAX
2.4. WAN(Wide Area Network)
2.4.1. 서로 다른 지역 연결
2.4.2. LAN to LAN 연결
2.4.3. 광대역 네트워크
Network 종류 3. OSI 7 Layer
3.1.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s Reference Model) - 참조해서 만들면 통신이 잘 돼요!
3.2.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별로 나누어 설명함.
3.3. Why/왜 알아야 하나요?
3.3.1. Data의 흐름을 알 수 있다
3.3.1.1. 각 계층별 기능과 역할을 통해 데이터 전달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 이해
3.3.2. Trouble Shooting / 문제 해결이 쉽다.
3.3.2.1. 어느 계층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 용이
3.3.3. Standard / 표준화
3.3.3.1. 장비 호환성 : 초창기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음.
OSI 7 Layer 4. 계층별 역할 및 기능, 장비
4.1. 상위계층
4.1.1. Layer 7 - Application 응용 계층 :
4.1.1.1. App처리
4.1.1.2. 데이터 생성을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Interface와 Network 서비스 제공
4.1.1.3. HTTP, FTP, Telnet 등
4.1.2. Layer 6 - Presentation 표현 계층 :
4.1.2.1. 데이터 표현 방법
4.1.2.2. 7계층에서 만든 데이터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현 방식을 할당.
4.1.2.3. JPEG, MP3, 압축등
4.1.3. Layer 5 - Session 세션 계층 :
4.1.3.1. 통신의 시작과 종료
4.1.3.2. App 또는 Network간 연결을 맺거나 끊기, 연결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
4.1.3.3. 논리적 연결 담당.
4.2. 하위계층
4.2.1. Layer 4 - Transport 전송 계층 :
TCP vs UDP 4.2.1.1. Protocol : TCP, UDP
4.2.1.2. 대표적인 장비 : L4 Switch, Gateway,
4.2.1.3. Data Unit : Segment
4.2.1.4. 데이터 전송 방식(TCP, UDP) 결정 및 서비스 포트번호 구별, 네트워크 통신관리
4.2.2. Layer 3 -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4.2.2.1. Protocol : IP, ICMP, IGMP, ARP, RARP
4.2.2.2. 대표적인 장비 : Router, L3 Switch
4.2.2.3. Data Unit : Packet
4.2.2.4. 논리적인 주소(IP Address)를 기반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데이터 경로 설정(Routing)
4.2.2.5. 최적 경로 설정 : Routing Protocol, Network 통신 경로 선택
4.2.3. Layer 2 - DataLink 데이터링크 계층 :
4.2.3.1. Protocol : Ethernet, HDLC, PPP
4.2.3.2. 대표적인 장비 : Switch
4.2.3.3. Data Unit : Frame
4.2.3.4. 물리적 주소( MAC Address)를 기반으로 Node vs Node로 데이터 전송 형태를 결정, 기기간 처리
4.2.4. Layer1 - Physical 물리 계층 :
4.2.4.1. 대표적인 장비 : Cable, Hub
4.2.4.2. Data Unit : BIT
4.2.4.3. 전기적인 접속
OSI 참조 모델 세부사항 아! 이런 거구나하고 또 넘어가세요!
언제가 머리가 확 뜨이면 이해 될 날이 옵니다.
Have a nice day!
728x90'공부합시다!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NG : Scan 방식에 따른 응답 (0) 2022.02.26 Router vs L3 Switch, NFV vs SDN (0) 2022.02.24 왜 Network를 알아야 할까요? (0) 2022.02.21 기본만 알면 다 통하는 Network! (0) 2022.02.20 L3_Switch Routing & Trunk Mode (0) 2021.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