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Terraform

Terraform : 2. vpc create

간서치 2022. 1. 3. 18:14
728x90

20단계로 배우는 Terraform : AWS 2회차 포스팅입니다.

간단하게 서울 리전 (ap-northeast-2)에 VPC를 생성하려 합니다.

Subnet은 총 6개를 생성하며 a,c 가용영역을 사용하려 합니다.

 

우선 네트워크는 10.0.0.0/16으로 VPC를 생성합니다.

VPC 이름은 sdkim-vpc로 구성합니다.

본인 이니셜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1. 저는 aws에 해당 리소스를 만들려 합니다.

따라서 provider를 "aws" 지정했습니다.

바로 그 밑에 region은 서울 리전인 "ap-northeast-2"를 사용합니다.

 

main.tf

2. resource 지시자는 aws상에 Terraform을 이용하여 생성할 자원을 의미합니다.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

 

registry.terraform.io

사이트 방문하시면 모든 참고 문서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해답이 바로 이 사이트에 있습니다.

 2.1. "aws_vpc"는 생성할 리소스로서 상기 문서에 지정된 대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2.2. "sdkim_vpc"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있는 식별자 입니다.

        Terraform 에서 해당 값을 참조하는 경우가 많으니 가독성 있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3. cidr_block은 필수(required) 항목입니다.

 2.4. enable_dns_hostname 과 enable_dns_support는 옵션 항목입니다.

      기본값은 false 이기 때문에 bool 값을 true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2.5. tags는 aws상에서 생명주기나 역할에 맞게 그룹 형태로 관리할 때 사용하는 항목입니다.

      굳이 설정하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그래도 aws resource 식별에 유리합니다.

 

provider를 지정하셨으니 

# terraform init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aws plugin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그리고 # terraform plan -> # terraform apply 명령어 순으로 실행하시면 aws에 vpc 생성됩니다.

꼭 눈으로 확인들 해주세요!

 

Have a nice day!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