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LInux

group quota : ext4 file system

간서치 2021. 12. 22. 20:00
728x90

ext4 file system에 group quota 설정을 포스팅 합니다.

 

1. 그룹 생성

 우선 그룹을 생성합니다. 물론 추후에 usermod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단 반드시 주그룹이 group quota에 적용될 그룹이어야만 합니다.

 곰곰히 생각해 보심 답이 나옵니다.

그룹 및 계정 생성 및 확인

 

2. 디렉토리 생성 후 ext4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한 디렉토리를 mount 합니다.

   /dev/sdc1를 /grpuo 라는 디렉토리에 마운트 했습니다.

 

디렉토리 생성 및 마운트

 

3. /etc/fstab 파일을 수정하여 quota를 설정합니다.

vi /etc/fstab

4. 재부팅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이미 명령어로 mount 해 두었으니 remount가 가능합니다.

remount 후 확인

5. 아래 설정이 존재하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group quota 설정 확인

6. /grquo 디렉토리 이동 후 quotacheck 명령어로 group quota database를 생성합니다.

quota database 생성

7. edquota -g test 명령어를 이용하여 test 그룹의 quota를 설정합니다.

test group quota 설정 

8. 파일 size로 제한을 합니다. 

파일size 제한

9. 그룹의 유예기간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edquota -t가 아니니 유의 하세요!

test group 유예기간 설정 명령어

 

10. test group 유예기간 설정

test group유예기간 설정

11. quotaon /grquo 명령어를 이용하여 quota를 실행합니다. quotaoff 그 반대

dd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a, b의 홈디렉토리에 3M 짜리 파일을 생성합니다.

quota 실행 및 테스트 파일 생성

 

12. /grquo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여 일반사용자도 파일을 쓸 수 있게 합니다.

    조금 고급스럽게 setfacl를 이용합니다.

facl 설정

13. 기존의 shell은 repquota -avg 명령어로 상태를 관찰합니다.

repquota -avg로 상태 관찰

 

 

14. putty 를 이용하여 a계정 로그인 후 4개 파일 복사, 설정을 확인합니다.

a 계정 파일 복사

15. a계정 파일 복사 후 설정 확인

a계정 파일 복사 후 설정 확인

16. putty를 다른 shell로 실행하여 b계정 로그인 후 파일 복사 합니다.

b계정 로그인 후 파일 복사

17. b계정 파일 복사 후 설정 확인

b계정 파일 복사 후 상태 확인

18. user quota 설정과는 다르게 soft 할당량을 넘어도 경고 메세지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허나 유예기간의 시간은 시작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a계정으로 hard 할당량까지 복사 후 경고메세지를 확인합니다.

할당량 초과 메세지 확인

19. quota 상태 확인

초과 상태 확인

 

group quota를 설정하고 Test까지 진행해 보았습니다.

응당 관리자라면 user 측의 메세지를 확인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본 중의 기본이니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관리자는 사용자측의 메세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Have a nice day!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