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Kubernetes

Kubernetes (K8S): Worker node Join

간서치 2022. 6. 7. 06:29
728x90

기존의 구성에 Worker node 추가 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Worker node에서 초기 설치 작업은 진행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1. 기존 Worker node 조회 : master node

2. token 조회 및 생성 : master node

3. token을 인증서를 이용하여 sha256 방식으로 Hash : master node

4. master node join : worker node 

5. 추가된 Worker node 확인 :master node

순으로 진행합니다.

 

1. 기존 Worker node 조회

 1.1. 기존 구성의 Worker node 확인

kubectl get nodes

node 조회

 

2. token 조회 및 생성 : Master

 2.1. 기존 Token 조회

  2.1.1. Token의 유효기간은 24시간

  2.1.2. 따라서 Token 생성 작업 필요

kubeadm token list
kubeadm token create

token 생성

 

3. 인증서의 Public key를 sha256 방식으로 Hash

 3.1. 공개키 추출 및 Hash

openssl x509 -pubkey -in /etc/kubernetes/pki/ca.crt | \
openssl rsa -pubin -outform der 2>/dev/null | \
openssl dgst -sha256 -hex | \
sed 's/^.* //'

publickey hash

4. master node join

 4.1. worker node에서 작업 진행

kubeadm join 10.0.0.1:6443 --token bv5e5j.zf4c4ttrx1avsbzq \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ea4a5de178d36c627c063fd096a4df84e141f2cda9d1f8bbe5662a037b6f7cba

kubeadm join MasterIP:6443 --token 생성한Token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PUBLICKEYHASH

Join

 

5. 추가된 Worker node 확인

 5.1. join 된 worker node 확인

kubectl get nodes

worker node

6. Worker node 삭제

# kubectl delete node <nodename>
예시)
# kubectl delete node node1
# kubectl get nodes

 

음 간단하게 work node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Master 역시 큰차이 없으니 한 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중화 제가 제일 강조하는 부분이지요!

728x90